어파인 변환 vs 투시 변환 어파인 변환 직사각형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이동변환, 전단변환, 크기변환, 회전변환 등등이 적용되어 직사각형이 평행사변형 형태로 변환되는 경우를 통틀어 어파인 변환이라고 한다. 어파인 행렬은 2 X 3 형태의 실수형 행렬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 2 X 3 짜리의 행렬안에 회전정보도 들어갈 수있고 이동, 크기 변환정보도 한꺼번에 들어갈 수 있다. 어파인 행렬은 실제 6개의 파라메타가 필요하기 때문에 6 Degree Of Freedom 개의 미지수를 필요로 한다.이는 실제로 왼쪽의 빨간점 , 보라점, 초록점이 오른쪽의 빨간점, 보라점, 초록점 ( 3개의 점 )으로 이동했을때의 이동관계를 알면 남은 모서리의 점은 자연스럽게 유추될 수 있고affine transform 의 행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