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록스 ( CROX ) _ 기업분석 (2)
#크록스 #크록스분석 #크록스기업분석 #크록스실적 #CROX #CROCS 크록스 헤이듀드 인수 이유 스터...
blog.naver.com

크록스 헤이듀드 인수 이유
스터디 발표에서 헤이듀드를 인수한 이유가 정확히 설명되지 않아
이번 시간에 크록스가 어떤 부분이 부족해서
헤이 듀드를 인수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헤이두드 heydude Z세대에게 사랑받는 브랜드, 크록스의 품으로
크록스, HEYDUDE(헤이두드) 인수 12월 23일, 크록스는 캐주얼, 컴포트 로퍼 브랜드 HEYDUDE(헤이두드)를 인수했습니다. Z세대 관련 칼럼을 많이 읽지 않는다면 국내 일반적인 투자자들은 '헤이두드...?
overseasmarket.tistory.com
일단 위 블로그에서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헤이듀드는 2008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가볍고, 편안하고, 스타일리쉬한 신발브랜드 입니다.
가볍고, 편안하다는 면에서 봤을 때는 크록스와 비슷한 컨셉, 분위기를 가진 브랜드로 보입니다.
꾸준한 상승세와 함께 2020년 2021년 편안한 캐주얼 신발을 찾는 수요가 급증하며
헤이듀드가 큰 인기 상승을 누렸다고 합니다.
헤이듀드의 상품평을 살펴보면
사이즈 조절이 자유로운 신발끈과 디자인 방면에서 어떤 복장에도 잘어울린다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가볍고 편안한 신발을 만든다는 크록스 창업 모토에 맞게
착화감이 상당히 좋다는 평이 많다고 합니다
헤이듀드에 대한 재무분석도 위 블로그에 상당히 자세하게 나와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부분만 본다면
2021년에 $570M (약 7500억)의 매출 중 95%가 미국에 집중되어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객만족도가 50%대인 나이키와 크록스에 비해
헤이듀드는 72라고 하는데 이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하네요
꾸준한 매출상승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 중 95%가 미국에 집중되어있다고 하는 것이
어떻게 보일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생각할 때는 정말 중요한 지표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아직 글로벌시장에 진출하지 않았는데도 21년 한해에만 1000만켤레를 팔았다고 한다면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게 된다면 더 폭발적인 매출성장이 이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위 블로그 작성자도 말했지만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유행한 브랜드 및 문화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경향이 짙었다고하는데
저도 이 의견과 같은 생각입니다.
최근 KPOP이 전세계 유행과 트랜드를 이끌어가는 면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KPOP을 홍보모델로 아시아 진출을 해본다면 더 큰 홍보효과가 있지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
.
.
[미국주식]크록스(CROX)의 헤이두드(HEY DUDE)인수는 호재인가? 악재인가?
크록스가 헤이두드(HEYDUDE)의 인수 소식과 함께 주가가 약 12%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크록스는 왜 헤이두드를 인수했는지 인수로 인한 위험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글로번 캐주얼 신발 분야
mg-112.tistory.com
크록스의 CEO인 앤드루 리스 ( Andrew Rees ) 는 헤이두드의 인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고 합니다.
" 헤이두드 인수로 포트폴리오에 고성장 고수익 브랜드를 하나 더 추가하게 돼 기쁩니다.
헤이두드의 캐주얼하고 편안하며 가벼운 제품은 장기적인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하며 크록스에 안성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으로써 생각해볼 수 있는 면으로는
크록스의 기존 제품들과 디자인만 다를뿐 컨셉이나 모토에 부합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재무적인 면에서 봤을 때
헤이듀드는 적자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큰 부채를 지고 인수할만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헤이듀드의 매출 성장률을 보면
21년 570M의 연간매출이 22년에는 약 725M 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21%성장으로 큰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크록스의 마진률을 보면 상당히 좋은 마진률을 기록하고있습니다.
크록스는 21년 3분기 말 기준 3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고 하는데
룰루레몬의 약 20%의 마진률, 나이키의 약 15% 마진률에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마진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헤이듀드도 위와같이 높은 마진율을 기록할 수 있는 기업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헤이두드를 구매해서 신어보고싶은 마음에
각 사이트에 약 1시간이 넘게 헤이두드를 굉장히 많이 검색해봤는데도 불구하고 제가 원하는 스타일의
신발은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위 모델들이 기본적인 모델들인데 솔직히 끌리는 모델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아마존에 접속해서 미국에 실제로 판매하고있는 헤이듀드를 검색해봤습니다.



제가 평소에 로퍼는 잘 안신고 다니다보니 딱히 끌리는게 없어 이 돈을 주고 사기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기는 했습니다.
약 2시간동안 계속 뒤져봐도 사고싶은 신발이 보이지 않아서 느낀점은 젊은 사람들이 신고다니기에는 조금 중후한 느낌의 신발들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헤이듀드가 위와같은 디자인으로
아시아의 젊은층을 공략할 수 있을까라는..
아직은 글로벌로 진출하기 힘들지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크록스 분석
저는 크록스가 더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
동남아시아 지역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번 분기 재무제표를 보면

녹색 새싹은 경기 침체 중에 경제 회복의 징후를 나타내기 위해 구어체 및 선전용으로 사용되는 용어
위와같이 동남아시아쪽에 매출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시아의 매출이 상당한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일단 동남아시아라고하면 덥고 습한 지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크록스의 디자인만 봐도 땀이차지않고 통풍이 잘되는 디자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크록스는 동남아시아에 공장을 늘려가고있는데
운송비나 운송기간을 제외한다면 더 높은 마진율을 기록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oneyt02&logNo=221247555261
베트남 다낭여행선물 : 가격이 착한 크록스 신발
다낭 여행 추천 쇼핑 리스트에 크록스 신발도 있나 봐요? 베트남 여행 다녀온 동생이 우리 네 식구에게 크...
blog.naver.com
2018년도 베트남 크록스 선물 후기인데
이때는 상당히 저렴했네요
그래서 실제로 한국과 베트남의 크록스 가격차이가 이렇게 심하게 나는지
궁금해서 베트남 크록스 가격을 비교해봤습니다.

한국 크록스

베트남 크록스
완전히 동일한 모델은 아니지만 비슷한 모델로 비교해봤을 때
한국에서는 99,000원으로 판매되고있고
베트남에서는 1,895,000동 ( 한화 약 10만 5천원 ) 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만 봤을때는 가격차이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운송비만 비교해봐도
실제 공장이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판매가 더 올라갈수록 마진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예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현재 달러의 강세로 판매나 수익률이 떨어지기는 하겠지만
언제까지 달러가 강세일 수는 없을 것이고 내년 1~2분기의 경기침체 이후
다시 경기가 호황이 오게됐을때 크록스의 매출과 수익률은 더 강해질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위는 인도의 크록스 사이트입니다.

기존에는 3,495루피로 약 5만 7천원으로 형성되어있습니다.

한국과 비교해봤을 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가가 형성되어있는데
심지어 현재 32% 세일하여 3만9천원으로 최종가가 설정되어있습니다.
크록스(CROX) 실적 발표 [회계연도 2022년 3분기]
▶ 회계연도 2022년 3분기 실적 발표 ▶ 기대 이상의 호실적 발표 ▶ 매출 +57.4% ▶ 크록스 브랜드 매출 +...
blog.naver.com
크록스 인도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거의 모든상품들을 전체적으로 세일하고있습니다.
위 블로그의 실적발표 분석을 보면
재고가 전분기 대비 +140%로 늘었는데
재고 처리를 위한 세일인지
고객층을 늘리기위한 세일인지
정확하게 알수는 없지만
이 세일로 인해 인도에 크록스에 대한 호감도와 인식이 상승하고
존재감을 더 크게 드러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무리
일단 크록스의 원가가 굉장히 궁금했는데 5불정도 한다고 하니
운송비나 인건비를 일단 모두 제외하고 보면 원가가 판매가의 10%밖에 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아직 중국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지 않았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이지않을까 싶습니다.

( 실제 마진률은 64%에서 55%로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는 공급망문제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감소라고하니 공급망문제가 해결된다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

녹색 새싹은 경기 침체 중에 경제 회복의 징후를 나타내기 위해 구어체 및 선전용으로 사용되는 용어
이번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나온 내용인데 중국과 아시아지역에서 꾸준한 매출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크록스가 코로나로인해서 공장을 베트남에서 인도로 이전했는데
이와같은 이유로 인도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운송비도 많이 들지않아 아시아 매출이 늘어나면 마진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을까 싶고
앞으로 달러가 진정세를 보이기 시작하면 마진이 더 크게 늘지않을까 싶습니다.
( 생각해보니 제조공장이 인도에있어 달러가 강세일 때 마진이 더 크게늘 것 같습니다. )
https://imnews.imbc.com/news/2021/world/article/6304317_34880.html
"나이키·크록스 생산시설 이전"‥베트남 떠나는 미국 기업들
미국 기업들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봉쇄 조치로 공장 가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베트남에서 생산 시설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이전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지난 달 30일...
imnews.imbc.com
.
.
.
일단 크록스를 분석하며 적정주가를 찾아보려 했는데
크록스가 결국 나이키정도의 대기업으로 발전한다고 하면...
현재 나이키의 PER가 약 30배정도 되는데
그렇다면 지금 크록스는 순이익이 고정이라는 가정하에 현재 PER이 10배이니
현재 시가총액보다 약 3배정도가 늘어야합니다.
그럼 현재 주가보다 약 3배높은 300달러를 최종 목표가로 보고
( 물론 순이익이 같이 늘어나고 마진률이 높아진다면 최종 목표가는 의미가 크게 없어질 것 같지만 )
적립식으로 매달 조금씩 매수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일단
조금은 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에는 CEO에 대해서 자세히 분석해보고
중국 현지에 아는 분들께 크록스에대한 인식에 대해 인터뷰해볼 생각입니다.
'Investment > 투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록스 기업분석(3) (0) | 2022.11.22 |
---|---|
크록스 분석 (1) (0) | 2022.11.22 |
빅데이터 산업 분석 (0) | 2022.10.02 |
인공지능 기초상식 (0) | 2022.09.27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 나노디멘션 동향 ) (2)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