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투자분석

크록스 분석 (1)

사막여유 2022. 11. 22. 08:15
728x90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assion4806/222919094988

 

크록스 ( CROX ) _ 기업분석 (1)

#크록스 #크록스분석 #크록스기업분석 #크록스실적 크록스 재무 CROX 에 대한 네이버 금융자료입니다. ...

blog.naver.com

 

 

 

 

크록스 재무

CROX 에 대한 네이버 금융자료입니다.

 

시가총액은 41억달러로 한화 약 5조 9천억원 가량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아직 배당수익률은 없으며

PER은 7.44배로 다른 신발브랜드 상장사와 비교했을 때 낮은편입니다.

( 2022년 07월 기준 )

NIKE

- 시가총액 : 201조원

- PER : 25.65 배

AEO ( 아메리칸 이글 )

- 시가총액 : 2조 7천억원

- PER : 11.04배

VF ( Vans, NorthFace, Dickies ... )

- 시가총액 : 14조원

- PER : 15.61배

SKX ( 스케쳐스 )

- 시가총액 : 7조 5천억원

- PER : 7.7배

...

제가 찾아본 의류 및 신발 관련 상장사들입니다.

이 중 시가총액도 비슷하고 PER이 낮은

스케쳐스와 CROCS를 살펴보겠습니다.

 

시가총액이 비슷한 기업이라도

매출액 증가율을 보면 확연한 차이가 납니다.

매출액 자체만 봤을때는 스케쳐스가 뛰어나지만

성장율 측면에서 봤을때는 크록스가 확실히 높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크록스를 제외한 다른 브랜드들은

신발만 유통하는 것이 아닌 의류까지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부류라고 딱 지정해서 말하기는 어렵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신발만 유통하고있음에도 연간매출액이 3조를 넘어가고있습니다. ( 21년기준 )

따라서 성장가능성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주가는 꿈을 먹고 자란다고했기 때문에 아직 주가상승 가능성이 있다고도 볼수있습니다

실적발표

크록스 매출 예측은 942.52M이었지만

실제 발표에서는 985.10M로

예상보다 매출이 높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주당 순이익도 예측인 주당 2.62달러보다

실제로는 2.97 달러로 높게 나왔기 때문에

실제로 크록스 주가는 이틀동안 14%, 11%

급등했습니다.

위 분기 보고서를 보게되면

작년 동분기에 비해 매출액이 약 36%가 상승했습니다.

전분기 대비해서는 크게 늘지 않았지만 연간으로 봤을때는 상당한 매출상승이기 때문에

어닝.. 서프라이즈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경기민감주인 크록스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시작될 시기인 3분기에서 예상치를 상회했고

기존에 부채가 꽤 많은데 순이익도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주가가 급등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지금은 오를거라고 생각하지만

해당 실적은 3분기 실적이기 때문에

아직 매수를 생각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내년 전세계적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올해 4분기실적과 내년 1분기실적에서

매출이 많이 줄어들고

현재 부채가 엄청나게 쌓여있는 상태에사 금리가 지속적으로 올라가고있기 때문에 현금흐름도 부채를 줄이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

순이익이 많이 줄어들면서

실망매물이 나올때쯤

주가가 많이 떨어져 시가총액이 정말 매력적일 때

매수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아니면 피터린치의 이기는투자에서 나온대로

정기적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크록스가 꾸준한 매출상승이나 매출이 하락하는 일이 없다고 한다면 현재시가총액도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크록스 대차대조

 

크록스 부채내역 그래프를 보게되면 2022년 초 ( 상반기 ) 에 부채가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최근 헤이 듀드라는 경쟁 신발기업을 인수했기 때문입니다.

약 25억달러 ( 한화 약 2조원 ) 에 인수했다고 하는데

인수 계약에 따라 헤이듀드 최고경영자에 20억5천만 달러 ( 해당시기 시세로 약 2조 2천억원) 의 현금과 4억 5천만 달러 ( 해당시기 시세로 4860억원 ) 상당의 주식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https://www.fpost.co.kr/board/bbs/board.php?bo_table=newsinnews&wr_id=2835&page=1

 

크록스는 왜 헤이듀드를 인수했나

    크록스, 경쟁사 헤이듀드 2조원에 인수인수 후 주가 12% 폭락 … 올바른 결정인가

www.fpost.co.kr

 

크록스는 20억 5천만 달러를 대출받아 충당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부채비율이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회사채를 발행해서 현금을 조달한것인지 대출을 받아 현금을 조달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금리가 계속 올라가고 있는 형국에 매출이 떨어진다면 흑자가 계속 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매출이 떨어질일은 없을 것 같긴합니다.

3분기 ( 7,8,9 월 ) 에는 기준금리가 아래와 같았습니다

3분기 실적이 집계됐을때까지만 해도 기준금리가 대략 2.5%라고 봐도 될겁니다.

그런데 이후 4%까지 기준금리가 올라갔고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주지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물론 현재 발표된 대차대조표를 보면 총부채가 줄어들고 있기는 하지만 큰 비율로 줄어들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악영향을 받을수밖에 없을 것 같긴합니다

크록스 종합

위 사이트를 방문하게 되면

가장 최근에 발행한 크록스 투자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자료를 한글로 번역해 분석해봤습니다.

아래는 크록스의 성장과정입니다.

마무리

제가 이 글을 쓰기 시작한 이틀 전만 해도 시가총액이 5조 9천억원이었는데

현재 이글을 쓰고 있는 시점은 시가총액이 7조 4천억원으로 시가총액이 20%나 많아졌습니다.

이에따라서 PER 도 7배였는데 현재 9.47배까지 오른 상태입니다.

옛날같았으면 현금보유량의 일부라도 떼어서 추격매수를 진행했겠지만

지금은 아직 기업분석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추격매수를 진행하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크록스가 엄청나게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긴다면

지금 25%가 오른 상태나 추후 몇배가 오른상태나 크게 차이가 없기때문에

급하게 생각해서 매수해야할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번달에 크록스에 대해서 철저하게 조사한 이후에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매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피터린치의 이기는 투자를 읽다보니

피터린치가 실제로 말한 주식 투자방법에 이런 문장이 나옵니다.

경기가 침체되기 시작하면 저는 경기민감주로 비중을 옮깁니다.

그리고 경기가 다시 호황일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종목에 투자합니다.

의미하는 바는 경기민감주는 경기가 침체되면 큰폭으로 하락하여

충분히 매력적인 가격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침체가 시작되면 매력적인 가격에 민감주를 매수하고

경기가 호황일때 경기민감주는 큰폭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매도할만한 가격까지 주식이 상승하면

해당 주식을 매도하고 다시 경기침체에 대비하여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종목에 투자한다는 것 입니다.

때문에 저도경기침체가 오고있는 이 시점에 크록스에 대해서 충분히 분석해볼 예정입니다.

728x90

'Investment > 투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록스 기업분석(3)  (0) 2022.11.22
크록스 기업분석 (2)  (2) 2022.11.22
빅데이터 산업 분석  (0) 2022.10.02
인공지능 기초상식  (0) 2022.09.27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 나노디멘션 동향 )  (2)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