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투자분석

나노디멘션 ( NNDM ) 재무분석

사막여유 2022. 8. 27. 00:57
728x90

나노디멘션

분석 페이지

 

 

재무제표 분석

매출액

NNDM 나노디멘션
     
연도
매출
매출액 증가율
2016
46
 
2017
829
1702%
2018
5100
515%
2019
7070
39%
2020
3399
-52%
2021
10493
209%
2022
 
 

연매출 증가율이 큰폭으로 늘고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번 1분기 매출액도 작년 4분기 매출액에 비해서도 증가하였다.

당기 순이익

2016 - ( -8976 )

2017 - ( -17503 )

2018 - ( -15488 )

2019 - ( -8353 )

2020 - ( -48494 )

2021 - ( -200777 )

당기순이익이 매출 증가율에 대비해서 더 큰폭으로 적자가 나고있다.

하지만 해당 회사는 자본대비 부채가 꽤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보고있다.

하지만 계속해서 적자폭이 증가하게되면 불안한 면은 있다.

총 부채가 늘고있다는 면에서도 불안하기는 합니다.

순이익이 큰폭으로 적자가 나고있어 총 자산이 줄어들고 있다는 면도 재무제표면에서는

큰 메리트라고 생각이 들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재무제표상으로는

투자하기에 그렇게 좋은 기업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요즘같은 금리인상시기에 부채가 자본대비 거의 없다는 점이나

2020년 12월 29일 CEO의 인터뷰에서

요아브스턴 ( CEO ) 가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하는 점,

그리고 20년 21년에 굉장히 잦은 유상증자를 했음에도 미래가치가 높아

주가가 금방 회복됐다는 점, ( 현재는 많이 하락한 상태지만 )

ARK 인베스트에서도 미래혁신기업 ETF에 포함되어있는 점들이

해당 회사를 더욱 부각시키는 것 같았고

혁신기업들이 그랬듯 현재 순이익이 큰폭으로 적자가 난다고 하더라도

기술이 인정받고있다는 면을 보면 ( 큰 매출액 상승 )

원가절감, 또다른 기술혁신 등에서 이후 더 큰 기업으로 발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분율 분석

NNDM ( 나노 디멘션 ) 역시 PTC와 마찬가지로 CEO의 지분율이

 

거의 없다.

 

어느 블로그에서는 주식발행수 1억주 4천만주 중 CEO를 포함한 내부자들의 지분이

1만주로 0.01%를 보유하고있다고 한다.

20년 21년에 무분별하게 유상증자를 해서 내부자들의 지분이 희석된건지

창립자가 아닌 임영된 CEO이기때문에 이것이 영향이 있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과연 지분이 없는 회사를 자기 회사라고 생각하고 일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서 아무리 미국 주식이라고 해도 CEO나 창립자가 적어도 한자리수의 지분은

갖고있어야한다고 생각하기에 해당 업체에 투자를 하기에는 위 부분이 많이 꺼려지는 부분이다.

직원수

현재 직원수가 20년 말에 비해 약 4배정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나노 디멘션 CEO

나노 디멘션 CEO

Yoav Stern

728x90

'Investment > 투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노디멘션 ( NNDM ) 창업주분석  (0) 2022.08.29
나노디멘션 ( NNDM ) 기업분석  (0) 2022.08.29
스마트팩토리 종합  (0) 2022.08.27
스마트팩토리 종목분석  (0) 2022.08.27
스마트팩토리 시장분석  (0) 2022.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