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그램은 영상처리에서만 사용하는 용어가 아닌 통계에서의 데이터 분포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영상에서는 픽셀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해당 그레이스케일의 Value를 모아서 분포를 표현해놓은 값이다. 가로축은 각각의 픽셀값을 의미하는데 이를 bin이라고 한다. 보통 GrayScale은 255까지 있다. 정규화된 히스토그램 이라고 부르는 표현이 있는데 ( Normalized histogram ) 이는 각 픽셀의 개수를 영상 전체 픽셀 개수로 나누어 준것이다.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같은 영상의 크기가 다를때는 분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기존의 히스토값을 확률로 변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보통 영상은 히스토그램을 보고 밝은영상인지 어두운영상인지를 구분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