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OPEN_CV

[Open CV] OpenCV-Python 시작하기 _ 영상의 구조와 표현

사막여유 2022. 4. 18. 22:25
728x90

2022.04.18 패스트캠퍼스 강의 01일차 후기

금일 강의는 영상의 구조와 표현이라는 영상처리의 기초에 관한 강의였다.

강의의 첫 부분에서 나오게되는 영상의 표현방법에서 기존에 알고 있었지만 깊게 생각해보지는 않았던

'영상'의 정의와 정의된 영상의 종류 ( 그레이스케일 영상 , 트루컬러 영상 ) 에대해 자세히 다루었다.

 

그리고 영상에서의 좌표계를 설명해주셨는데

이를 행렬로 표현하느냐 , 또는 너비 높이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가로 및 세로의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른 분들에게 사진의 크기를 설명해줄때 이를 주의하여 가로 세로의 순서를

명확히해주어야 한다는 것도 좋은 설명이었다.

 

그레이 스케일과 트루컬러 영상의 크기에대한 차이점에 대한 설명도 해주셨는데 

그레이 스케일은 1Byte 트루컬러 영상은 3Byte로 

영상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 픽셀의 가로크기 ) X ( 픽셀의 세로크기 ) X ( 그레이 or 컬러 영상 크기 ) 

로 이미지의 크기와 흑백 or 컬러의 여부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1.4MP 12MP 카메라의 의미는 무엇인지 유추해볼 수 있다.

 

예시 이미지 - 출처 :  https://blog.naver.com/rosettela/222667536721

 

 

카메라는 MP이라는 Pixel로 구성되있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12MP의 카메라라는 의미는 12,000,000개의 픽셀(화소)로 구성되어있는 카메라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위 초광각 12MP의 카메라로 컬러이미지를 촬영하면 몇 MB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지

유추해볼 수 있다.

 

12,000,000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각각 256개의 R,G,B의 값으로 표현이 된다고하면

12,000,000 X 3Byte 즉, 36,000,000Byte ( 36MB ) 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영상파일의 각각의 특징을 정리해주었는데

BMP, JPG, GIF, PNG 파일에 대한 각각의 특징을 정리해 주셨다.

 

위의 4가지가 대표적이라고 했을때 산업영상처리나 머신비전 그리고

기본적인 영상처리에서는 BMP 또는 PNG의 영상파일은 무손실 영상이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있고

JPG는 손실압축 영상이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https://bit.ly/3L3avNW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