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선정
저번주까지만 하더라도 내가 하고 있는 일과 관련된 업종을 찾고있었습니다.
제가 하고있는 업종은 '머신비전' 이라는 분야이기때문에
구글에 머신비전 관련 회사를 검색해보는데 관련 회사가 생각만큼 많이 나오지 않아서
애를 많이 먹었습니다.
그래서 이전 회사에서 설비를 만들었었던 경험을 떠올려서
스마트 팩토리에 관해서 알아보고 업종을 변경할지 고민해보기 위해서 스마트 팩토리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일단 설비를 제작할때 설비에 머신비전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스마트팩토리를
알아보면 머신비전에 관해서도 자연스레 알아볼 수 있을것같습니다.
스마트 팩토리란?
일단 네이버에 정의되어있는 스마트 팩토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품을 조립, 포장하고 기계를 점검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공장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즉, 첨단 지능형 공장으로 꼽힌다.
스마트 팩토리는 모든 설비와 장치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전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에서는 공장 곳곳에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카메라를 부착시켜 데이터를 수집하고 플랫폼에 저장해 분석하는데,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디서 불량품이 발생하였는지, 이상 징후가 보이는 설비는 어떤 것인지 등을 인공지능이 파악하여 전체적인 공정을 제어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마트 팩토리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현재 상식적으로나 경험적으로나 어떠한 중,소 중견 제조업체를 방문하더라도
한 설비에 기본적으로 한 사람들이 붙어서 설비를 운영합니다.
예를들어서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제조하는 업체라고 한다면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제조하는 설비 앞에 최소 0.5명에서 한명의 오퍼레이터가 붙어서
설비가 잘 돌아가고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하거나
플라스틱컵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오퍼레이터란 설비를 실제로 조작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아마 3차산업혁명 이후의 전형적인 제조업체들의 모습일겁니다.
물론 20세기나 2000년대초에 비하면 그래도 많이 발전된 모습이라고해도 말입니다.
하지만 위에서말한 '스마트 팩토리' 라는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좋아하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보통 중견기업이상이라고 한다면 설비들이 최소 몇십대에서 몇백대가 돌아가고있을텐데
대략잡아 100대의 설비가 돌아가고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리고 100대의 설비를 돌리는데 2대당 1명 그리고 주간,야간동안 계속 돌리면 100명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게된다면 과장해서 단 2명의 전문 오퍼레이터만 필요하게될지도
모릅고 인건비가 90% 이상 감소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문제인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공장에 사람이 부족하다는 말도 많습니다.
최근 3년간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를 보면 '구인난' 입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젊은사람들이 없어 구인이 더욱 힘들다고 합니다.
자동차·조선업등 주요 제조업, 고질적인 구인난 ‘어쩌나’
국내 주요 제조업인 자동차·조선산업의 경기 전망이 개선되고 있지만 인력난으로 어려움이 예상돼 이러한 업황 개선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www.viva100.com

국내 주요 제조업인 자동차·조선산업의 경기 전망이 개선되고 있지만 인력난으로 어려움이 예상돼 이러한 업황 개선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100세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100세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www.viva100.com
위 뉴스의 제목에서 나타나듯 제조업의 구인난은 고질적인 문제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 기업입장에서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일단 제 주관적인 의견은 여기까지 이고 이제 객관적인 데이터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팩토리에대한 객관적인 데이터
네이버 검색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에 관해 분석했을때 가장 스마트 팩토리를 잘 분석해서
설명해주고있는 위 블로그의 내용을 인용하여 작성하겠습니다.
위 글쓴이는 제가 생각했었던 스마트팩토리의 범주와는 완전히 다르게 분석했습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프로세스만 바뀐다고 '스마트 팩토리'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스마트공장은 기존 공장과는 달리, 제품의 기획 및 개발부터 양산까지, 주문부터 완제품 출하까지 제조 관련 '모든 과정'을 맡습니다. 응용 시스템 뿐만 아니라, 현장 자동화 및 제어자동화 영역까지 공장 운영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기에 기존 공장과는 차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스마트팩토리 시장현황 및 핵심 기술 분석|작성자 Tae
제가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스마트팩토리는 제조프로세스 뿐만 아니라 주문부터 기획, 개발, 양산까지 모든것을 아울러서 사람이 신경쓰지 않아도 될정도의 수준을 말하는 것인것 같습니다.
스마트 팩토리 공정의 자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알아봐야겠지만 대략만 봐도
스마트 팩토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과정들과 기업들이 협력해야하는
대규모 혁신인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스마트 팩토리 시장 현황
국내 스마트 제조 솔루션(ERP, MES, PCM, SCM) 시장은 2018년 1조 1500억, 2019년 1조 1700억원에 달하였으며 FA 저널에서 조사한 2021년 시장 전망 조사 결과에서 2020년 시장규모는 약 1조 1900억원이었고 2021년 비슷한 성장세로 약 1조 2100억 시장으로 성장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출처] 스마트팩토리 시장현황 및 핵심 기술 분석|작성자 Tae
역시 국내시장은 너무 작은 규모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의 대표주식이라고 불리는 포스코 ICT의 시가총액 대략 8000억인데
시장 매출이 1조 2100억원이라고 한다면 아직 국내에서는
너무 작은 시장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해외 스마트팩토리 시장 현황을 알아보았습니다.

* CAGR : 연평균 성장률

약 164조 5천억 원
국내와는 확연하게 큰 차이가 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grandviewresearch.com/press-release/global-smart-manufacturing-market
Smart Manufacturing Market Worth $787.85 Billion By 2030
The global smart manufacturing market size is predicted to hit USD 787.85 billion by 2030. The market is also anticipated to register a CAGR of 13.4% from 2022 to 2030, based on a recent report by Grand View Research, Inc
www.grandviewresearch.com
The global smart manufacturing market size is predicted to hit USD 787.85 billion by 2030. The market is also anticipated to register a CAGR of 13.4% from 2022 to 2030, based on a recent report by Grand View Research, Inc
Market Research Reports & Consulting | Grand View Research, Inc.
Industry Reports Grand View Research provides off the shelf, syndicated market research studies, publishing over 240 reports each year, covering 45 industries, on a global as well as regional level. We track various industries, identifying key markets and
www.grandviewresearch.com
'Investment > 투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팩토리 종합 (0) | 2022.08.27 |
---|---|
스마트팩토리 종목분석 (0) | 2022.08.27 |
스마트팩토리 시장분석 (0) | 2022.08.27 |
스마트팩토리 공정분석 (2) (0) | 2022.08.27 |
스마트팩토리 공정분석 (0) | 2022.08.27 |